2025.04.03 (목)

  • 맑음속초8.3℃
  • 맑음10.4℃
  • 맑음철원11.8℃
  • 맑음동두천11.8℃
  • 맑음파주12.0℃
  • 맑음대관령5.6℃
  • 맑음춘천10.6℃
  • 구름많음백령도10.2℃
  • 구름조금북강릉9.8℃
  • 구름많음강릉10.0℃
  • 구름조금동해9.9℃
  • 맑음서울12.7℃
  • 맑음인천10.7℃
  • 맑음원주10.0℃
  • 구름조금울릉도9.2℃
  • 맑음수원11.6℃
  • 맑음영월9.7℃
  • 맑음충주7.4℃
  • 맑음서산11.8℃
  • 구름많음울진11.2℃
  • 박무청주9.3℃
  • 맑음대전12.5℃
  • 맑음추풍령9.2℃
  • 구름조금안동10.8℃
  • 맑음상주8.7℃
  • 구름많음포항11.9℃
  • 구름많음군산10.8℃
  • 구름조금대구10.4℃
  • 구름조금전주11.6℃
  • 흐림울산10.8℃
  • 구름조금창원13.0℃
  • 구름조금광주12.2℃
  • 구름많음부산12.6℃
  • 구름조금통영13.1℃
  • 구름많음목포9.4℃
  • 맑음여수11.5℃
  • 흐림흑산도8.6℃
  • 구름많음완도13.5℃
  • 구름조금고창11.4℃
  • 구름조금순천10.6℃
  • 맑음홍성(예)11.2℃
  • 맑음9.5℃
  • 구름많음제주12.4℃
  • 구름많음고산9.3℃
  • 구름조금성산12.3℃
  • 맑음서귀포15.0℃
  • 구름조금진주12.9℃
  • 맑음강화10.8℃
  • 맑음양평8.1℃
  • 맑음이천7.6℃
  • 맑음인제10.5℃
  • 맑음홍천10.3℃
  • 구름조금태백8.2℃
  • 맑음정선군10.1℃
  • 맑음제천9.0℃
  • 맑음보은11.0℃
  • 맑음천안10.0℃
  • 구름조금보령10.8℃
  • 맑음부여11.7℃
  • 맑음금산12.1℃
  • 맑음10.3℃
  • 구름조금부안10.9℃
  • 구름조금임실12.0℃
  • 구름많음정읍11.6℃
  • 구름조금남원12.0℃
  • 맑음장수10.9℃
  • 구름조금고창군10.8℃
  • 구름조금영광군10.3℃
  • 구름조금김해시12.2℃
  • 구름조금순창군11.9℃
  • 구름조금북창원13.4℃
  • 구름조금양산시14.4℃
  • 맑음보성군12.1℃
  • 구름많음강진군12.6℃
  • 구름많음장흥11.8℃
  • 구름많음해남10.5℃
  • 구름조금고흥12.3℃
  • 구름조금의령군12.9℃
  • 맑음함양군12.7℃
  • 구름조금광양시13.4℃
  • 흐림진도군9.1℃
  • 맑음봉화10.4℃
  • 맑음영주10.8℃
  • 맑음문경9.7℃
  • 구름많음청송군12.3℃
  • 구름많음영덕12.0℃
  • 구름많음의성12.2℃
  • 맑음구미11.2℃
  • 구름많음영천10.1℃
  • 흐림경주시11.1℃
  • 구름조금거창10.5℃
  • 구름조금합천12.6℃
  • 맑음밀양12.3℃
  • 구름조금산청11.7℃
  • 구름조금거제11.1℃
  • 맑음남해11.7℃
  • 구름조금14.4℃
기상청 제공
청도투데이 로고

투데이 현장

전체기사 보기

소나무재선충병 급속 확산··· 청도 '비상'

봄철 고온에 우화시기 앞당겨져 집단발생 더욱 가속화되는 상황

1면 사진.jpg

사진:청도읍 거연리 오례산성 일대와 유호2리 앞 산에는 붉게 마른 소나무가 셀 수 없을 정도로 빽빽하다. 모두 재선충병 피해를 입은 나무다.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이 확산하는 가운데 청도 산림에도 급격한 확산세를 보이면서 비상이 걸렸다. 이런 가운데 인근 밀양시가 재선충병 '극심' 지역으로 분류되면서 지역에 서식하는 재선충이 청도 지역으로 이동할 개연성도 매우 높은 실정이다. 특히 밀양시와 연접해 있는 청도읍 유천지역과 매전면 구촌지역에는 산과 언덕마다 벌겋게 물든 나무가 빼곡했다. 이서면 가금리 일대 야산에도 초록색 부분보다 붉은 부분이 더 많아 보인다. 최근 화양읍 소라리 마을 뒷산 소나무 고사 현장에서 만난 주민 이혜영씨(66)는 이렇게 말했다. 방문만 열면 푸른 나무들이 보였는데 얼마 전부터 누런 단풍나무 군락처럼 변했단다. 산책 길 옆 숲속 소나무는 재선충병 매개 벌레로 인해 말라 죽고 있었다. 오솔길을 따라 올라가면 산 정상 부근엔 우람한 소나무들이 즐비했다. 마을 상황도 마찬가지다. 소나무가 죽어가며 아름다운 산 조망은 물론 쾌적한 공간이 사라질 수 있단 우려에서다. “몇 해 전부터 산 정상 나무까지 저렇게 돼버렸으니 주민들 건강이 걱정이다”고 했다. 이 산에 오르던 김 모씨(58)는 “지난해 5월까진 소나무가 우거져 울창하고 푸른 숲이었는데, 이젠 곳곳에서 뻘겋게 말라 죽어가고 있다”며 “이곳도 곧 벌거숭이 산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재선충병은 솔수염하늘소에 기생하던 재선충이 소나무에 침입해 양분을 차단하면서 나무가 말라 죽는 병이다. 치료약이 없고 감염되면 100% 고사해 이른바 ‘소나무 암’이라고도 불린다. 봄철 고온 현상에는 매개충의 우화 시기가 앞당겨지고, 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집단발생이 더욱 가속화되는 상황이다. 전국적인 재선충병 확산 때문이기도 하다. 최근 5년간(2020~24년) 전국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현황을 보면 급격한 증가추세다. 이 기간 총 감염나무는 305만7344 그루다. 연도별로 2020년 40만6362 그루, 2021년 30만7919 그루, 2022년 37만8079 그루, 2023년 106만5967 그루, 2024년 4월까지 89만9017 그루이다. 경북은 123만7495 그루로 전국 대비 약 41%에 이른다. 경북에서는 포항·경주·안동 순으로 감염이 심각하다. 경주는 2002년 양남 수렴마을 첫 발생과 함께 매년 피해가 늘었다. 2022년 8만2820 그루, 지난해 12만3819 그루로 2년 사이 5배로 확산일로다. 방제에 나서고 있지만 역부족이란 평가다. 재선충의 비상거리가 평균 2㎞이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상대적으로 멀리 날아가는 현실을 감안하면 밀양지역에서 청도지역으로 재선충병이 확산할 경우 청도 자체 방제만으로 청도의 소나무숲을 온전히 지키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재선충병 확산은 연접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어 청도로서는 남의 일로 치부할 게 아닌 상황이다. 효율적인 방제를 위해 인근 밀양시와 연계해 집중 방제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박기삼 산림보호팀장은 “재선충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중요 소나무숲 확산 경로 차단, 소나무류 불법 이동 단속, 수종 전환과 예방 나무주사 확대 등으로 적극적인 방제를 추진하고 있다”며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신속한 대응과 철저한 방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청도천에서 천연기념물 '수달' 산다…2마리 카메라에 포착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330호 수달 서식

청도천 수달10.jpg

사진:지난 24일 오후 6시께 청도군 청도천 유등교 하류에서 수달들이 먹이활동을 하고 있는 장면.(독자 박충배씨 제공) 청도천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330호인 수달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4일 오후 6시께 청도천 유등교 하류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있는 것을 포착했다. 수달은 깨끗한 물과 건강한 생태계에서만 서식해 청도천에서 멸종위기종이 발견되는 것은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진을 촬영한 박충배 씨는 "수달 가족들이 서로 노니는 장면은 만나기 쉽지 않다.청도천에 귀한 손님, 수달이 왔다"며반겼다. 수달은 족제비와 비슷하지만 몸집이 훨씬 더 크고 수중 생활에 적합한 신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낮에는 보금자리에서 쉬고 밤에 활동하며 위험 상태에 놓이면 물속으로 잠복하는 습성이 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쉽게 만나볼 수 없는 희귀 동물이며, 1982년 11월 천연기념물로 지정됐고 2012년 7월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돼 보호를 받고 있다. 이번에 청도천에서 수달이 목격된 만큼 군은 주민들에게 수달의 보호 가치에 대해 널리 알리고, 멸종위기 야생동물을 적극 홍보하는 등 수달 서식지 보호와 위협요인 저감에 노력해야 한다.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