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속초3.6℃
  • 구름많음2.3℃
  • 맑음철원0.0℃
  • 구름조금동두천3.0℃
  • 맑음파주0.0℃
  • 맑음대관령-3.5℃
  • 구름많음춘천2.8℃
  • 박무백령도4.1℃
  • 맑음북강릉3.7℃
  • 맑음강릉4.2℃
  • 맑음동해5.2℃
  • 박무서울6.2℃
  • 박무인천5.5℃
  • 맑음원주3.6℃
  • 구름조금울릉도5.2℃
  • 박무수원4.3℃
  • 맑음영월1.7℃
  • 구름많음충주3.7℃
  • 맑음서산0.5℃
  • 구름조금울진5.0℃
  • 연무청주7.1℃
  • 흐림대전7.0℃
  • 구름조금추풍령4.6℃
  • 맑음안동0.7℃
  • 구름많음상주3.7℃
  • 맑음포항4.7℃
  • 맑음군산4.5℃
  • 박무대구3.6℃
  • 박무전주6.6℃
  • 맑음울산3.1℃
  • 맑음창원5.5℃
  • 박무광주6.1℃
  • 맑음부산6.7℃
  • 맑음통영4.9℃
  • 안개목포4.4℃
  • 맑음여수7.3℃
  • 박무흑산도5.1℃
  • 맑음완도4.0℃
  • 맑음고창0.6℃
  • 구름많음순천1.1℃
  • 박무홍성(예)3.6℃
  • 흐림5.7℃
  • 구름많음제주7.1℃
  • 맑음고산7.9℃
  • 맑음성산6.6℃
  • 구름조금서귀포7.7℃
  • 맑음진주2.5℃
  • 맑음강화3.9℃
  • 구름많음양평4.0℃
  • 구름많음이천5.1℃
  • 구름많음인제0.9℃
  • 구름많음홍천2.5℃
  • 맑음태백-2.0℃
  • 맑음정선군-0.8℃
  • 구름많음제천0.9℃
  • 구름많음보은3.0℃
  • 흐림천안3.4℃
  • 맑음보령2.8℃
  • 구름조금부여4.8℃
  • 구름많음금산6.6℃
  • 구름많음5.6℃
  • 맑음부안3.8℃
  • 맑음임실3.5℃
  • 맑음정읍2.9℃
  • 맑음남원4.3℃
  • 맑음장수3.5℃
  • 맑음고창군1.7℃
  • 맑음영광군1.0℃
  • 맑음김해시4.4℃
  • 맑음순창군2.8℃
  • 맑음북창원5.8℃
  • 맑음양산시4.0℃
  • 구름많음보성군3.8℃
  • 맑음강진군2.0℃
  • 맑음장흥1.2℃
  • 맑음해남-0.6℃
  • 구름조금고흥2.0℃
  • 맑음의령군1.8℃
  • 맑음함양군2.9℃
  • 맑음광양시6.2℃
  • 맑음진도군2.1℃
  • 맑음봉화-2.4℃
  • 맑음영주0.5℃
  • 흐림문경3.4℃
  • 맑음청송군-1.7℃
  • 맑음영덕3.9℃
  • 맑음의성-0.1℃
  • 맑음구미2.8℃
  • 맑음영천0.1℃
  • 맑음경주시0.6℃
  • 맑음거창2.6℃
  • 맑음합천3.1℃
  • 맑음밀양3.4℃
  • 맑음산청2.2℃
  • 맑음거제4.3℃
  • 구름조금남해5.8℃
  • 맑음2.5℃
기상청 제공
청도투데이 로고
설다민의 異口同味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다민의 異口同味

호박범벅이야기

1670477029337.jpg


늙을수록 비싼 몸값을 자랑하는 식품이 있다.

노화를 멈추고 면역력을 높이는 최고의 가을 보약 늙은호박이 주인공이다.

찬바람이 불고 기온이 내려가면 늙은호박에 땅콩, 팥, 찹쌀가루를 넣어 만든 호박범벅이 생각난다. 


우리나라는 곡물을 이용한 음식이 아주 발달해 있어 밥은 당연하고 유동식으로 미음 죽 범벅 응이등 다양하게 구분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자주 듣는 단어인 범벅은 곡식 가루를 된풀처럼 쑨 음식을 말하는 것인데 형태로만 본다면 일종의 죽이라고도 할 수 있다.

범벅의 대표는 호박범벅지만 옥수수, 수수, 고구마, 도토리, 밀로도 범벅을 만든다. 


봄이 오면 쑥을 쌀가루에 버무려 쑥버무리를 하듯 가을이면 늙은 호박을 속에 씨를 정리하고 곱게 채를 쳐 쌀가루와 버무려 찌면 호박버무리가 되는데 버무리는 떡과 비슷한 덩어리형태며 물기가 별로 없고 범벅은 호박과 쌀가루를 섞어 된풀처럼 끓여내니 죽과 버무리의 사이라고 할 수 있다. 


응이는 의이라고도 하는데 본래 율무를 뜻하는 말이었으나, 곡물을 갈아서 그대로 쓰지 않고 고운 베자루나 무명자루에 넣어 뿌연 물을 모두 짜내고 이것을 가라앉혀서 얻은 녹말로 쑤는 죽을 가르키는 말이 되었다. 매우 부드럽게 마실 수 있는 유동식이라 노약자나 아기에게 적합하다.


찬바람 불면 꼭 한 번은 먹고 지나가야 서운하지 않다는 호박범벅 뜨끈하게 끓여 시원한 물김치와 한 그릇 먹는다면 쌀쌀한 날씨로 굳은 몸도 스르륵 풀릴 것이다.


호박범벅을 맛있게 끓이는 방법은 약불로 뭉근하게 끓이며 눌어붙지않게 자주 저어주는 것이다. 이리 저리 범벅물이 튀어 데일수 있으니 깊이가 있는 팬을 사용하고 장갑을 꼭 착용하는 것이 좋다.  


구독 후원 하기

  • 구독과 후원은 청도투데이의 가장 큰 힘 입니다
  •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겠습니다
  • 구독 [월]5,000원 [년]50,000원 / 후원 2,000원 이상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