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속초3.6℃
  • 구름많음2.3℃
  • 맑음철원0.0℃
  • 구름조금동두천3.0℃
  • 맑음파주0.0℃
  • 맑음대관령-3.5℃
  • 구름많음춘천2.8℃
  • 박무백령도4.1℃
  • 맑음북강릉3.7℃
  • 맑음강릉4.2℃
  • 맑음동해5.2℃
  • 박무서울6.2℃
  • 박무인천5.5℃
  • 맑음원주3.6℃
  • 구름조금울릉도5.2℃
  • 박무수원4.3℃
  • 맑음영월1.7℃
  • 구름많음충주3.7℃
  • 맑음서산0.5℃
  • 구름조금울진5.0℃
  • 연무청주7.1℃
  • 흐림대전7.0℃
  • 구름조금추풍령4.6℃
  • 맑음안동0.7℃
  • 구름많음상주3.7℃
  • 맑음포항4.7℃
  • 맑음군산4.5℃
  • 박무대구3.6℃
  • 박무전주6.6℃
  • 맑음울산3.1℃
  • 맑음창원5.5℃
  • 박무광주6.1℃
  • 맑음부산6.7℃
  • 맑음통영4.9℃
  • 안개목포4.4℃
  • 맑음여수7.3℃
  • 박무흑산도5.1℃
  • 맑음완도4.0℃
  • 맑음고창0.6℃
  • 구름많음순천1.1℃
  • 박무홍성(예)3.6℃
  • 흐림5.7℃
  • 구름많음제주7.1℃
  • 맑음고산7.9℃
  • 맑음성산6.6℃
  • 구름조금서귀포7.7℃
  • 맑음진주2.5℃
  • 맑음강화3.9℃
  • 구름많음양평4.0℃
  • 구름많음이천5.1℃
  • 구름많음인제0.9℃
  • 구름많음홍천2.5℃
  • 맑음태백-2.0℃
  • 맑음정선군-0.8℃
  • 구름많음제천0.9℃
  • 구름많음보은3.0℃
  • 흐림천안3.4℃
  • 맑음보령2.8℃
  • 구름조금부여4.8℃
  • 구름많음금산6.6℃
  • 구름많음5.6℃
  • 맑음부안3.8℃
  • 맑음임실3.5℃
  • 맑음정읍2.9℃
  • 맑음남원4.3℃
  • 맑음장수3.5℃
  • 맑음고창군1.7℃
  • 맑음영광군1.0℃
  • 맑음김해시4.4℃
  • 맑음순창군2.8℃
  • 맑음북창원5.8℃
  • 맑음양산시4.0℃
  • 구름많음보성군3.8℃
  • 맑음강진군2.0℃
  • 맑음장흥1.2℃
  • 맑음해남-0.6℃
  • 구름조금고흥2.0℃
  • 맑음의령군1.8℃
  • 맑음함양군2.9℃
  • 맑음광양시6.2℃
  • 맑음진도군2.1℃
  • 맑음봉화-2.4℃
  • 맑음영주0.5℃
  • 흐림문경3.4℃
  • 맑음청송군-1.7℃
  • 맑음영덕3.9℃
  • 맑음의성-0.1℃
  • 맑음구미2.8℃
  • 맑음영천0.1℃
  • 맑음경주시0.6℃
  • 맑음거창2.6℃
  • 맑음합천3.1℃
  • 맑음밀양3.4℃
  • 맑음산청2.2℃
  • 맑음거제4.3℃
  • 구름조금남해5.8℃
  • 맑음2.5℃
기상청 제공
청도투데이 로고
설다민의 異口同味-매생이 이야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다민의 異口同味-매생이 이야기

매생이 이야기


AKtEOcR9fPg.jpg


겨울의 대표 식품 매생이이다. 

짙은 녹색의 머리카락보다 더 가는 뭉치 때문에 거부감을 갖을 수도 있으나 한번 맛보면 바다내음이 진하여 그맛과 향에 반하게 된다. 

수확철이 1월 한달로 짧아 한철 음식이었지만 최근에는 꽁꽁 얼려두고 해동하여 판매하기에 1년 내내 수월하게 맛을 볼 수 있다.


매생이는 철분이 풍부해서 빈혈에 좋고, 칼륨·아이오딘·칼슘도 풍부하여 뼈질환 관련이나 어린이 성장발육 음식으로도 좋다. 아스파라긴산과 비타민이 풍부하고 부드러운 맛으로 술 마신 다음 숙취해소와 칼로리가 적고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다이어트식으로도 각광받는다.


주로 굴을 넣고 매생이국을 끓이거나 칼국수, 죽, 떡국에 넣거나 전을 부치기도 하는데 매생이의 역사기록은 조선시대 장흥군의 진상품이었고, 정약전의 자산어보와 그밖에 여러 기록에도 등장하고 있다.

사실 해안지방 일부에만 알려져있던 매생이가 유명세를 타게 된 것은 만화 식객에서 에피소드 매생이의 계절 이후이다. 


매생이는 가늘고 섬유질이 촘촘해서 보온능력이 매우 뛰어난데 그 때문에 매생이죽이나 매생이국중 뭉쳐있는 매생이들은 매우 뜨겁다. 겉으로 보기에는 김도 안나서 그냥 후후 불고 먹다가 입천장 다 까진 경험이 한번쯤은 있다. 이런 이유로 보통 장모님들이 미운 사위들 입천장 다 까지라고 대접하는 음식으로 유명해서, 매생이죽은 미운사위죽 이라는 별명도 있다. 


매생이는 동결건조된 상태가 아니라면 바다에서 건져낸 상태 그대로이다. 

특성상 매우 가늘게 뭉쳐있어 바다에 있는 이물질이 혼입될 수 있으니 조리전 반드시 꼼꼼하게 풀어 세척을 해야만 한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건조 블록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파래와 감태와 헷갈리기도 하지만 이들의 구별방법은 굵기이다. 

파래, 감태, 매생이 순으로 매생이가 가장 가늘다. 


매생이로 국을 끓일 때 오래 끓이면 매생이가 모두 녹아버리니 먼저 준비된 재료를 한소끔 끓인 후 매생이를 살짝 넣어 끓여주는 것이 팁이다. 

구독 후원 하기

  • 구독과 후원은 청도투데이의 가장 큰 힘 입니다
  •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겠습니다
  • 구독 [월]5,000원 [년]50,000원 / 후원 2,000원 이상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