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속초3.6℃
  • 구름많음2.3℃
  • 맑음철원0.0℃
  • 구름조금동두천3.0℃
  • 맑음파주0.0℃
  • 맑음대관령-3.5℃
  • 구름많음춘천2.8℃
  • 박무백령도4.1℃
  • 맑음북강릉3.7℃
  • 맑음강릉4.2℃
  • 맑음동해5.2℃
  • 박무서울6.2℃
  • 박무인천5.5℃
  • 맑음원주3.6℃
  • 구름조금울릉도5.2℃
  • 박무수원4.3℃
  • 맑음영월1.7℃
  • 구름많음충주3.7℃
  • 맑음서산0.5℃
  • 구름조금울진5.0℃
  • 연무청주7.1℃
  • 흐림대전7.0℃
  • 구름조금추풍령4.6℃
  • 맑음안동0.7℃
  • 구름많음상주3.7℃
  • 맑음포항4.7℃
  • 맑음군산4.5℃
  • 박무대구3.6℃
  • 박무전주6.6℃
  • 맑음울산3.1℃
  • 맑음창원5.5℃
  • 박무광주6.1℃
  • 맑음부산6.7℃
  • 맑음통영4.9℃
  • 안개목포4.4℃
  • 맑음여수7.3℃
  • 박무흑산도5.1℃
  • 맑음완도4.0℃
  • 맑음고창0.6℃
  • 구름많음순천1.1℃
  • 박무홍성(예)3.6℃
  • 흐림5.7℃
  • 구름많음제주7.1℃
  • 맑음고산7.9℃
  • 맑음성산6.6℃
  • 구름조금서귀포7.7℃
  • 맑음진주2.5℃
  • 맑음강화3.9℃
  • 구름많음양평4.0℃
  • 구름많음이천5.1℃
  • 구름많음인제0.9℃
  • 구름많음홍천2.5℃
  • 맑음태백-2.0℃
  • 맑음정선군-0.8℃
  • 구름많음제천0.9℃
  • 구름많음보은3.0℃
  • 흐림천안3.4℃
  • 맑음보령2.8℃
  • 구름조금부여4.8℃
  • 구름많음금산6.6℃
  • 구름많음5.6℃
  • 맑음부안3.8℃
  • 맑음임실3.5℃
  • 맑음정읍2.9℃
  • 맑음남원4.3℃
  • 맑음장수3.5℃
  • 맑음고창군1.7℃
  • 맑음영광군1.0℃
  • 맑음김해시4.4℃
  • 맑음순창군2.8℃
  • 맑음북창원5.8℃
  • 맑음양산시4.0℃
  • 구름많음보성군3.8℃
  • 맑음강진군2.0℃
  • 맑음장흥1.2℃
  • 맑음해남-0.6℃
  • 구름조금고흥2.0℃
  • 맑음의령군1.8℃
  • 맑음함양군2.9℃
  • 맑음광양시6.2℃
  • 맑음진도군2.1℃
  • 맑음봉화-2.4℃
  • 맑음영주0.5℃
  • 흐림문경3.4℃
  • 맑음청송군-1.7℃
  • 맑음영덕3.9℃
  • 맑음의성-0.1℃
  • 맑음구미2.8℃
  • 맑음영천0.1℃
  • 맑음경주시0.6℃
  • 맑음거창2.6℃
  • 맑음합천3.1℃
  • 맑음밀양3.4℃
  • 맑음산청2.2℃
  • 맑음거제4.3℃
  • 구름조금남해5.8℃
  • 맑음2.5℃
기상청 제공
청도투데이 로고
영농현장-겨울철 감밭 관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농현장-겨울철 감밭 관리

초보농부를 위한 기초지식 안내

아직도 몸이 움츠려지는 겨울이다. 본격적인 농사철이 오기 전이지만 틈나는 대로 감밭을 관리해 둔다면 봄이 오더라도 마음이 바쁘지 않고 적기 영농이 가능하다. 

첫째, 정지.전정이다. 청도반시는 그동안 수고 낮추기 사업을 통해 키를 낮춘 감나무도 많으나 아직도 전정을 하지 않고 방임형으로 키우는 농가도 많다. 이런 감나무는 키가 높고 주지 수가 너무 많아 수관 내부가 복잡한 경우가 많은데 이런 나무는 광환경이 불량하여 병해충의 발생이 많을 뿐 아니라 방제도 어렵다. 내부에 결실된 감은 일조 부족으로 쉽게 낙과되며 낙과되지 않더라도 착색이 불량하다.  겨울 전정시 굵은 가지를 줄이면 광환경이 개선되어 가지 중간에 잠아의 발생이 많아져 우량한 결과지를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 굵은 가지가 줄어들면 나무의 엽재비가 개선되어 대과 생산이 가능하다. 유목이나 수형을 만들어 가는 나무는 주지의 연장지를 계속해서 키워야 하므로 이 연장지에는 결실시키지 말아야 한다. 이런 나무는 결실부의 상승과 과다결실을 막기 위해 전정 시 결과모지의 크기에 따라 끝눈이나 그 아래 눈까지 절단해 준다. 이렇게 하면 50% 이상의 적과 효과가 있어서 조기낙과를 막고 대과 생산이 가능해진다. 


둘째, 월동 병해충 밀도 줄이기이다. 최근 몇 년간 탄저병, 깍지벌레, 볼록총채벌레 피해 감밭이 많았다. 병해충피해를 줄이려면 생육기의 적기 방제와 함께 휴면기에 월동 병해충의 밀도를 줄이는 일이 중요하다. 탄저병을 비롯한 대부분 병원균들은 병든 가지나 낙엽에서 월동하므로 겨울 동안 낙엽과 마른 가지를 모아 땅을 깊이 파서 묻거나 집으로 가져와서 소각하면 병원균의 전염원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깍지벌레는 대부분 조피 속에서 월동하므로 겨울 동안 조피제거 작업을 하면 월동 밀도를 줄이는 효과가 크다. 


셋째, 동해 예방이다. 과수의 동해는 낮은 온도가 문제지만 또 웃자라거나 과다결실, 조기낙엽 등 수체내 저장양분이 부족할수록 동해에 더 약하게 된다. 배수불량 과원이나 유효토층이 얕은 과원에서 피해가 큰데 이것 역시 부족한 저장양분이 원인이다. 무엇보다 하루의 일교차가 클수록 피해가 큰데 특히 지표면 가까이(지제부)에 피해가 큰데 이 부위가 일교차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즉 낮에는 온도 상승이 크고 밤에는 온도 저하가 가장 심하기 때문이다. 같은 주간에서도 동.북쪽보다 남.서쪽이 피해가 큰데 낮에 온도 상승이 더 높기 때문이다. 동해 예방을 위해서는 나무의 원줄기를 짚이나 신문지, 보온덮개 등으로 감싸 주거나 백색수성페인트(물과 1;1)로 도포해 주면 되는데 원예연구소 조사결과 짚> 신문지> 보온덮개 순으로 주야간 온도 차이가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리고 지난 11월 26일 이후부터 건조한 날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유목은 기온이 영상일 때 관수해 주면 봄철 건조로 인한 동해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조기동 영농상담사

구독 후원 하기

  • 구독과 후원은 청도투데이의 가장 큰 힘 입니다
  •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겠습니다
  • 구독 [월]5,000원 [년]50,000원 / 후원 2,000원 이상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