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속초3.6℃
  • 구름많음2.3℃
  • 맑음철원0.0℃
  • 구름조금동두천3.0℃
  • 맑음파주0.0℃
  • 맑음대관령-3.5℃
  • 구름많음춘천2.8℃
  • 박무백령도4.1℃
  • 맑음북강릉3.7℃
  • 맑음강릉4.2℃
  • 맑음동해5.2℃
  • 박무서울6.2℃
  • 박무인천5.5℃
  • 맑음원주3.6℃
  • 구름조금울릉도5.2℃
  • 박무수원4.3℃
  • 맑음영월1.7℃
  • 구름많음충주3.7℃
  • 맑음서산0.5℃
  • 구름조금울진5.0℃
  • 연무청주7.1℃
  • 흐림대전7.0℃
  • 구름조금추풍령4.6℃
  • 맑음안동0.7℃
  • 구름많음상주3.7℃
  • 맑음포항4.7℃
  • 맑음군산4.5℃
  • 박무대구3.6℃
  • 박무전주6.6℃
  • 맑음울산3.1℃
  • 맑음창원5.5℃
  • 박무광주6.1℃
  • 맑음부산6.7℃
  • 맑음통영4.9℃
  • 안개목포4.4℃
  • 맑음여수7.3℃
  • 박무흑산도5.1℃
  • 맑음완도4.0℃
  • 맑음고창0.6℃
  • 구름많음순천1.1℃
  • 박무홍성(예)3.6℃
  • 흐림5.7℃
  • 구름많음제주7.1℃
  • 맑음고산7.9℃
  • 맑음성산6.6℃
  • 구름조금서귀포7.7℃
  • 맑음진주2.5℃
  • 맑음강화3.9℃
  • 구름많음양평4.0℃
  • 구름많음이천5.1℃
  • 구름많음인제0.9℃
  • 구름많음홍천2.5℃
  • 맑음태백-2.0℃
  • 맑음정선군-0.8℃
  • 구름많음제천0.9℃
  • 구름많음보은3.0℃
  • 흐림천안3.4℃
  • 맑음보령2.8℃
  • 구름조금부여4.8℃
  • 구름많음금산6.6℃
  • 구름많음5.6℃
  • 맑음부안3.8℃
  • 맑음임실3.5℃
  • 맑음정읍2.9℃
  • 맑음남원4.3℃
  • 맑음장수3.5℃
  • 맑음고창군1.7℃
  • 맑음영광군1.0℃
  • 맑음김해시4.4℃
  • 맑음순창군2.8℃
  • 맑음북창원5.8℃
  • 맑음양산시4.0℃
  • 구름많음보성군3.8℃
  • 맑음강진군2.0℃
  • 맑음장흥1.2℃
  • 맑음해남-0.6℃
  • 구름조금고흥2.0℃
  • 맑음의령군1.8℃
  • 맑음함양군2.9℃
  • 맑음광양시6.2℃
  • 맑음진도군2.1℃
  • 맑음봉화-2.4℃
  • 맑음영주0.5℃
  • 흐림문경3.4℃
  • 맑음청송군-1.7℃
  • 맑음영덕3.9℃
  • 맑음의성-0.1℃
  • 맑음구미2.8℃
  • 맑음영천0.1℃
  • 맑음경주시0.6℃
  • 맑음거창2.6℃
  • 맑음합천3.1℃
  • 맑음밀양3.4℃
  • 맑음산청2.2℃
  • 맑음거제4.3℃
  • 구름조금남해5.8℃
  • 맑음2.5℃
기상청 제공
청도투데이 로고
영농현장-과수 묘목심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농현장-과수 묘목심기

초보농부를 위한 기초지식 안내

추위가 물러가고 땅이 녹으면 묘목시장이 활기를 띠게 된다. 

식목일은 4월5일이지만 실제 모든 나무의 묘목은 해동 후 가능하면 일찍 심는 것이 유리하다. 묘목을 심다 보면 복숭아나 자두같이 옮겨 심어도 잘 사는 나무가 있는가 하면 감나무같이 옮겨 심으면 몸살이 심하고 활착이 잘 안되는 나무도 있다. 묘목을 잘 심으면 초기 활착이 빨라 수형 구성에 필요한 주지를 확보하는데도 그만큼 유리하게 된다. 


묘목은 깊게 심는 것보다 얕게 심는 것이 활착이 빠르고 생육이 양호하므로 심은 후 흙이 가라앉은 후 접목 부위가 지면보다 5cm 정도 올라오도록 심는다. 묘목을 심을 때는 가능하면 흙이 마른 상태에서 물을 주어 심는 것이 좋다. 심는 요령은 묘목의 크기에 맞춰 구덩이를 판 뒤 묘목을 구덩이에 넣고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밭의 부드러운 겉흙을 구덩이에 2/3 정도 넣은 후 물을 충분히 준 후에 물이 완전히 다시 흙을 채운후에 한 번 더 물을 준후 그 위에 마른 흙을 살짝 덮은 후 적당히 밟아 준다. 


이렇게 하면 묘목의 뿌리 사이에 흙이 채워지고 공기가 없으므로 뿌리가 마르지 않고 활착이 빨라지게 된다. 묘목을 심을 때는 화학비료나 퇴비는 주지 말고 완전히 활착된 후에 주는 것이 좋다. 또 묘목을 심은 후에는 0.03mm 이상의 가로, 세로의 길이가 1m 이상되는 연질 흑색비닐을 가운데를 찢어 멀칭해 주면 토양 내의 온도와 적습이 유지되어 활착과 초기생육이 양호하고 잡초피해도 막을 수 있다. 묘목을 심은 후에는 원줄기를 적정한 높이로 잘라주어야 하는데 뿌리가 약할수록(특히 감나무) 원줄기를 짧게 남겨야 T/R율이 개선돼 당년에 필요한 잎수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심은 첫해에 적정 잎수를 확보해야 다음 해에도 정상적인 생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원줄기를 자른 후에는 병원균의 감염예방과 수분증발 방지를 위해 절단면에 도포제를 발라주고 지주(특히 복숭아나무)를 세워 새순이 자란후 바람에 흔들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복숭아나무는 한두 그루를 심는 농가도 있지만 대부분 과원 조성을 목표로 밭 전체에 심는 경우가 많다. 복숭아는 다른 과수에 비해 경제수령이 짧은 것이 단점이다. 수명이 짧은 것은 복숭아나무의 생육 특성에도 있겠지만 특히 수명이 짧은 과원을 보면 배수불량으로 인한 수세쇠약과 주지의 일소피해, 수지증상 등이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복숭아 농사에서 배수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모르는 농가가 없으므로 대부분 나름대로 암거배수를 하거나 적토를 하여 지하수위를 낮추어 배수불량으로 인한 피해를 막으려고 노력한다. 


우리군의 토양 중에는 식양토가 많아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배수불량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는 과원이 많다. 배수불량이 염려되는 토양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연구한 식재 방법을 추천하고 싶다. 복숭아 묘목을 심기 전에 중장비를 이용하여 주간에 넓이 2m 깊이 30cm 정도의 작업로를 겸한 배수로를 직각으로 파서 그 흙을 나무 심을 이랑에 올리면 나무심을 이랑과 작업로의 차이가 40cm이상 나게 된다. 이렇게 묘목을 심게 되면 복숭아나무 뿌리의 대부분이 지표면에서 지하 50cm이내에 분포하므로 습해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조기동 영농상담사

구독 후원 하기

  • 구독과 후원은 청도투데이의 가장 큰 힘 입니다
  •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겠습니다
  • 구독 [월]5,000원 [년]50,000원 / 후원 2,000원 이상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