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맑음속초6.1℃
  • 흐림6.4℃
  • 흐림철원5.3℃
  • 흐림동두천8.0℃
  • 흐림파주6.0℃
  • 맑음대관령1.7℃
  • 흐림춘천6.7℃
  • 비백령도6.6℃
  • 맑음북강릉7.4℃
  • 맑음강릉8.5℃
  • 맑음동해7.0℃
  • 흐림서울9.5℃
  • 흐림인천7.6℃
  • 구름조금원주7.6℃
  • 맑음울릉도8.2℃
  • 흐림수원7.4℃
  • 맑음영월5.2℃
  • 구름조금충주5.9℃
  • 구름많음서산6.8℃
  • 맑음울진6.4℃
  • 구름많음청주9.3℃
  • 구름많음대전8.9℃
  • 구름조금추풍령6.9℃
  • 구름조금안동8.8℃
  • 구름조금상주9.2℃
  • 구름조금포항10.4℃
  • 흐림군산6.9℃
  • 구름많음대구10.1℃
  • 흐림전주7.9℃
  • 구름많음울산9.5℃
  • 구름많음창원9.0℃
  • 흐림광주10.2℃
  • 흐림부산10.4℃
  • 구름많음통영8.9℃
  • 흐림목포9.2℃
  • 흐림여수9.4℃
  • 흐림흑산도8.5℃
  • 흐림완도9.6℃
  • 흐림고창7.2℃
  • 흐림순천6.2℃
  • 박무홍성(예)7.2℃
  • 구름많음8.8℃
  • 흐림제주10.4℃
  • 흐림고산11.3℃
  • 흐림성산10.0℃
  • 흐림서귀포11.4℃
  • 구름많음진주7.6℃
  • 흐림강화6.8℃
  • 구름많음양평8.2℃
  • 구름많음이천8.3℃
  • 구름조금인제5.0℃
  • 구름많음홍천6.5℃
  • 맑음태백1.8℃
  • 맑음정선군3.5℃
  • 맑음제천4.1℃
  • 구름많음보은5.9℃
  • 구름많음천안5.6℃
  • 흐림보령5.9℃
  • 흐림부여6.6℃
  • 구름많음금산6.8℃
  • 구름많음7.6℃
  • 흐림부안7.8℃
  • 흐림임실6.8℃
  • 흐림정읍6.9℃
  • 구름많음남원8.9℃
  • 흐림장수8.0℃
  • 흐림고창군8.8℃
  • 흐림영광군8.8℃
  • 구름많음김해시9.4℃
  • 흐림순창군9.9℃
  • 구름많음북창원10.3℃
  • 구름많음양산시6.9℃
  • 흐림보성군7.5℃
  • 흐림강진군9.5℃
  • 흐림장흥9.7℃
  • 흐림해남7.5℃
  • 흐림고흥7.3℃
  • 구름많음의령군7.7℃
  • 구름많음함양군5.9℃
  • 흐림광양시9.0℃
  • 흐림진도군9.0℃
  • 맑음봉화2.4℃
  • 구름조금영주6.1℃
  • 구름조금문경8.1℃
  • 구름조금청송군4.8℃
  • 구름조금영덕5.8℃
  • 구름조금의성5.0℃
  • 구름조금구미10.2℃
  • 구름조금영천5.8℃
  • 구름많음경주시6.3℃
  • 구름많음거창6.0℃
  • 구름많음합천10.1℃
  • 구름많음밀양6.9℃
  • 구름많음산청8.9℃
  • 구름많음거제8.5℃
  • 흐림남해9.4℃
  • 구름많음7.2℃
기상청 제공
청도투데이 로고
설다민의 異口同味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다민의 異口同味

꼬막이야기


꼬막무침-1.jpg


11월이면 생각나는 대표적인 식재료는 꼬막과 유자, 과메기, 옥돔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푹 삶아 양념을 올려 먹거나 야채 마늘 쪽파를 송송 썰어 양념에 무쳐 밥과 비벼 먹으면 세상 별미인 꼬막이다. 


꼬막은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에서 많이 나는데 그중에서도 벌교에서 가장 많이 채취되어 벌교하면 꼬막이다.

양식이 발달되어 제철 구분없이 먹을 수 있다 하지만 꼬막의 살이 차오르기 시작하는 11월 지금부터 한겨울까지 꼬막의 맛과 풍미가 최고다. 


꼬막에는 세가지 종류가 있는데 참꼬막, 새꼬막, 피꼬막이 있다. 

꼬막의 껍데기 겉면에 부채살 모양으로 도드라진 줄기를 방사륵이라고 하는데 방사륵이 17~18개면 참꼬막, 32개면 새꼬막, 피꼬막은 40개로 가장 방사륵이 많다. 


꼬막중에서도 살이 연하며 가장 크고 헤모글로빈이 월등한 것은 피꼬막인데 고단백에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해독작용이 뛰어난 꼬막은 찬바람을 견디게 하는 힘을 주는 대표적인 식재료라 할 수 있다.


꼬막을 손질 할때는 먼저 볼에 꼬막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소금을 넣어 서너번 깨끗하게 씻어 1차 겉면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소금물에 담궈 검은 봉지로 씌워 1~2시간정도 해감을 시킨다.  

시간이 지나 검은 봉지를 벗기면 꼬막이 뱉어놓은 뻘과 조개껍질등 2차 이물질을 제거하면 깨끗하게 꼬막을 섭취할 수 있다. 


꼬막을 삶을 때는 물을 끓이다 냄비 바닥에 기포가 보이면 소주나 청주 그리고 꼬막을 넣고 삶는다. 

이때 수저로 꼬막을 한쪽 방향으로만 저어주며 삶으면 꼬막살이 한쪽면으로만 붙어 살을 발라낼 때 편하다. 

꼬막은 너무 삶으면 살이 질겨지므로 꼬막이 입을 벌리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체에 받혀 식히면 탱글탱글한 꼬막을 맛볼 수 있다. 

구독 후원 하기

  • 구독과 후원은 청도투데이의 가장 큰 힘 입니다
  •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겠습니다
  • 구독 [월]5,000원 [년]50,000원 / 후원 2,000원 이상




포토